서브 헤더

GIS 감리 서비스 개요

지리공간 데이터와 그에 대한 속성데이터의 위상관계로 구성된 공간 형상 정보들에 대해 분야별 전문가가 독립된 관점에서 검토하여 문제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권고하는 서비스입니다.

목적

  • 대규모 GIS사업시행에 따른 기술의 적정한 적용과 투자효율성 확보
  • GIS관련 사업 및 활용체계의 원활한 추진
  • GIS 표준 및 기준 등의 일괄된 적용을 위한 품질관리 체계 확보
  • GIS사업의 안정성 확보
  • GIS구축사업의 사업위험 방지
  • GIS를 통한 정보화 비전 달성

법적 기준

  • 전자정부법 (법률 제17962호, 2021.03.23)
  • 전자정부법 시행령 (대통령령 제31380호, 2021.01.05)
  • 「정보시스템 감리기준」 (행정안전부고시 제2021-4호, 2021.1.19)
  • 정보시스템감리수행가이드 (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, 2021.2.9)
  •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구축운영 지침 (행정안전부 고시 제2018-21호, 2018.3.21)
  • 공공기관의 데이터베이스 표준화 지침 (행정안전부 고시 제2019-20호, 2019.3.20)

  • 개인정보보호법 (법률 제16930호, 2020.2.4)
  • 개인정보의 기술적 관리적 보호조치 기준 (개인정보보호위원회, 제2020-5호, 2020.8.11)
  • 개인정보의 기술적‧관리적 보호조치 기준 해설서 (개인정보보호위원회, 한국인터넷진흥원, 2020.12.30)
  • 소프트웨어 개발보안 가이드 (행정안전부, 2017.1)
  • 한국형 웹콘텐츠 접근성지침 2.1 (한국정보통신표준, 2015.3.31)
  • 행정기관의 코드표준화 추진지침 (행정안전부고시 제2021-6호, 2021.1.19)
  • 국가DB사업 관리지침 [미래창조과학부예규 제14호, 2016.11.21]
  • 공공정보 제공지침 [행정자치부 고시 제2016-9호, 2016.2.5 폐지]
  • 수치지도 작성 작업규칙 [국토교통부령 제209호, 2015.6.4]
  • 공공측량 작업규정 [국토교통부, 제2013-1887호, 2013.11.25]
  • 지도도식규칙 [국토교통부령 제209호, 2015.6.4]

GIS 감리 서비스 구성

분야 감리 영역
사업관리분야 감리조치결과확인, 과업지시서 이행여부관리, 범위관리, 위험관리, 일정감리, 품질관리
컨설팅분야 자문 및 컨설팅
활용체계분야 전산기술 감리, GIS기술 감리, 데이터베이스 구축 감리
지리정보 검수분야 지리정보 구축 관련 규정의 준수여부, 입력지침의 적정성, 데이터베이스 검수

핵심 고려 요소

구분 내용
완전성 (Completeness)
  • 데이터완전성(data completeness): DB가 표준 및 규약에 기술된 객체들을 모두 포함
  • 모델완전성(model completeness): DB에 적용된 표준 및 규약이 특정 응용시스템에 적합
해상도 (Resolution)
  • 시간, 공간, 주제 상에서 구분할 수 있는 데이터의 상세한 정도
  • 해상도 수준은 정확도에 영향을 미침
정확성 (Accuracy)
  • 에러에 반대되는 개념으로, EAV(entity-attribute-value) 모델을 기반으로 정의
  • 공간(spatial), 시점(temporal), 주제(thematic) 측면에서의 정확도로 측정
일관성 (Consistency)
  • 한 DB 내에서의 모순의 유무를 의미
  • 다양한 데이터 출처, 인력, 장비 등에 따른 공간적 편차가 없는 것
준수성 (Compliance)
  • 관련 표준 및 규약에 대한 준수 정도

GIS 감리 서비스 특장점

  • GIS 감리에 분야별 전문가 참여로 발주기관과 사업자 간 상호 이해 조정
  • 감리지원 자동화 도구 활용으로 정량적이고 효율적인 감리 수행
  • GIS 구축물 무작위 샘플링 검수
  • DB 구축팀과의 협의로 최적의 검수 진행

QUICK MENU